광저우 봉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저우 봉기는 1927년 12월 중국 공산당이 광저우에서 일으킨 무장 봉기이다. 중국 공산당은 국민당 군벌 간의 갈등을 틈타 봉기를 계획, 실행했으나, 국민혁명군의 반격으로 3일 만에 진압되었다. 봉기 실패로 많은 공산주의자들이 처형되었고, 광저우 소비에트 정부는 붕괴되었다. 광저우 봉기는 난창 봉기, 추수 봉기에 이은 중국 공산당의 세 번째 봉기 실패였으며, 이후 중국 공산당의 전략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봉기에는 200여 명의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이 참여하여 한국 독립운동과도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7년 12월 - 1927년 12월 24일 일식
1927년 12월 24일 일식은 부분 일식으로, 02:10:08.1(UTC)에 시작하여 05:49:03.8(UTC)에 종료되었으며, 다양한 천문 주기와 관련된다. - 중화민국의 항의행동 - 5·4 운동
5·4 운동은 1919년 중국에서 발생한 반제국주의, 민족주의 운동으로, 파리 강화 회의의 결정에 반발하여 일본 상품 불매 운동으로 확산되었고, 중국 공산당 창당의 계기가 되는 등 중국의 정치, 사회,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중화민국의 항의행동 - 5·30 사건
1925년 상하이에서 일본인 노동자 피살 사건을 계기로 촉발된 5·30 사건은 반제국주의 시위로, 조계 당국의 무력 진압으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며 중국 민족 운동의 전환점이 되었다. - 1927년 시위 - 추수 봉기
추수 봉기는 1927년 중국 공산당이 국민당과의 국공 합작 결렬 이후 후난성 등에서 일으킨 무장 봉기로, 마오쩌둥의 지도 아래 창사를 공격했으나 실패하고 징강산으로 후퇴하여 농촌 게릴라 전술의 계기가 되었다. - 1927년 시위 - 난창 봉기
난창 봉기는 1927년 중국 공산당이 국민당과의 결별 이후 독자적인 군사력 확보를 위해 일으킨 무장 봉기로, 비록 실패했지만 중국 공산당의 군대 창건과 무장 투쟁 노선을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광저우 봉기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쟁 | 중국 내전의 일부 |
날짜 | 1927년 12월 11일 ~ 1927년 12월 13일 |
장소 | 중화민국 광저우 |
결과 | 중화민국 정부의 승리; 봉기는 진압되었지만 중국 전역에서 더 많은 봉기를 장려함. |
교전 세력 | |
교전 1 | 중국 공산당 노동자, 군인 및 농민 대표 소비에트 지원 세력: 코민테른 |
지휘관 및 지도자 | |
지휘관 1 | 장타이레이 예팅 예젠잉 쉬샹첸 하인츠 노이만 |
지휘관 2 | 장파쿠이 |
병력 규모 | |
병력 1 | 무장 노동자와 군인 20,000명 |
병력 2 | 군인 15,000명; 이후 5개 사단으로 증강 |
사상자 및 피해 | |
사상자 1 | 5,700명 |
사상자 2 | 심각 |
2. 배경
1927년 중국 대혁명이 실패로 끝난 뒤, 코민테른은 중국 공산화에 계속 실패하면서 스탈린의 정치적 입지가 불안해졌다. 스탈린은 자신의 정책을 정당화하고 소련 내 경쟁자인 트로츠키를 견제하기 위해 중국 공산당에게 무장 봉기를 일으켜 소비에트 국가를 세우라고 지시했다. 하지만 난창 봉기, 추수 봉기 등 앞선 봉기들이 모두 실패하면서 스탈린의 입장은 더욱 난처해졌다.[3][8][9]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 공산당은 국민당 내부의 권력 다툼을 틈타 광저우에서 다시 한번 봉기를 계획하게 되었다. 당시 국민당 군벌인 장파쿠이와 리지선 사이에 광둥 지역의 주도권을 둘러싼 갈등이 있었는데, 중국 공산당은 이를 이용해 여러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인 봉기를 일으켜 광둥성의 권력을 잡으려 했다. 그러나 장파쿠이가 먼저 광저우를 점령하고, 리지선의 반격을 막기 위해 병력을 이동시키면서, 광둥성 위원회는 광저우에서 봉기를 일으키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했다.[2]
한편, 봉기 준비 과정에서 코민테른 요원 하인츠 노이만이 광둥에 도착하여 현지 공산주의자들과 함께 활동했다. 장궈타오에 따르면, 노이만은 봉기 계획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그저 스탈린의 지시를 전달하는 역할만 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2. 1. 코민테른의 지시와 스탈린의 정치적 입장
1927년 중국 대혁명이 실패한 직후, 코민테른은 중국 공산당에게 지속적인 무장 봉기를 지시했다.[8][9] 이는 코민테른 내부의 권력 투쟁과도 관련이 있었다. 스탈린은 자신의 정책을 정당화하기 위해 중국에서의 혁명 성공을 필요로 했고, 트로츠키의 견제를 받았다. 이에 따라 중국 공산당(중공)에 무장 봉기를 통한 소비에트 국가 건설을 압박했다. 1927년 8월과 9월에는 호남 성, 강서 성, 호북 성 등지에서 난창 봉기, 추수 봉기 등이 모두 실패로 끝나 스탈린의 입지는 더욱 약화되었다.[3]중국 공산당 총서기 취추바이는 코민테른과 협력하여 봉기를 추진했으며, 현장 지휘는 장타이레이(張太雷), 예젠잉(葉劍英), 황평(黃平) 등이 맡았다. 조선인 공산주의자 200여 명도 참가했으며,[3] 이들을 지휘한 최용건 등은 황포군관학교 출신이었다.[8]
2. 2. 중국 공산당의 초기 봉기 실패
1927년 8월과 9월, 중국 공산당은 호남성, 강서성, 호북성 등지에서 난창 봉기, 추수 봉기 등을 일으켰으나 모두 실패했다.[3] 이러한 실패는 스탈린의 대중국 정책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고, 중국 공산당 내부의 전략적 혼란과 군사력 부족을 드러냈다. 당시 중국 공산당 총서기 취추바이는 코민테른과 협력하여 봉기를 추진했지만, 현장 지휘는 장타이레이(張太雷), 예젠잉(葉劍英), 황평(黃平) 등이 주도했다. 이 봉기에는 최용건 등 황포군관학교 출신 조선인 공산주의자 200여 명이 참여했으나, 봉기 실패 후 생존자들은 만주로 파견되었다.[3][8]2. 3. 국민당 내부의 권력 투쟁
1927년 11월, 중국 공산당(CCP)은 국민당 군벌 장파쿠이와 리지선 사이의 권력 투쟁을 이용하여 광저우에서 봉기를 일으킬 기회를 엿보았다. 농민 반군은 시골을 혼란에 빠뜨리고, 노동자들은 현청을 장악하며, 총파업으로 광저우를 마비시킬 계획이었다. 별도로 공산주의 분파는 하이난섬을 점령하고, 하이루펑 소비에트의 군대는 후이저우를 공격한 다음 광저우로 진격할 예정이었다.[2]그러나 11월 27일, 장파쿠이가 기습 공격으로 리지선으로부터 광저우를 점령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장파쿠이는 리지선의 반격을 막기 위해 대부분의 병력을 도시 밖으로 이동시켰고, 광둥성 위원회는 이때가 광저우 봉기의 이상적인 시기라고 판단했다.[2]
3. 경과
1927년 중국 대혁명 직후, 코민테른의 지시로 중국 공산당은 무장 봉기를 계획했다. 스탈린은 자신의 대중국 정책을 정당화하기 위해 봉기를 지시했고, 취추바이는 코민테른과 협력하여 이를 추진했다. 장타이레이(張太雷), 예젠잉(葉劍英), 황핑(黃平) 등이 현장 지휘를 맡았고, 최용건 등 조선인 공산주의자 200여 명도 참여했다.[3][8]
1927년 12월 11일, 약 2만 명의 공산주의 성향 군인과 무장 노동자들이 "적위대"를 조직하여 광저우를 점령했다. 비록 무장은 열악했지만(소총을 소지한 반란군은 2,000명), 기습으로 도시 대부분을 점령했다. 12월 12일, "광저우 소비에트"가 선포되고 장타이레이가 주석 대리가 되었다.
그러나 국민혁명군(NRA)이 반격하면서 봉기는 빠르게 진압되었다. 장타이레이는 사망하고, 12월 13일 공산당 세력은 광저우에서 철수했다. 살아남은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은 만주로 파견되었고,[3] 최용건 등은 광저우열사능원리에 기념관을 건립했다.[8][9]
이 봉기는 1927년 세 번째 실패한 봉기였지만, 중국 전역에서 추가 봉기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3. 1. 봉기 초기
1927년 중국 대혁명 직후 혁명군이 마지막으로 철수하던 날 밤에 봉기가 발생하였다.[8][9] 코민테른의 지시에 따라, 중국 공산당은 난창 봉기, 추수 봉기 등 앞선 봉기들이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무장 봉기를 계획했다. 취추바이는 코민테른과 협력하여 이 봉기를 추진하였으며, 현장 지휘는 장타이레이(張太雷), 예젠잉(葉劍英), 황핑(黃平) 등이 주도했다. 이 봉기에는 황포군관학교 출신의 최용건 등이 지휘하는 200명 정도의 조선인 공산주의자들도 참가했다.[3][8]1927년 12월 11일, 중국 공산당은 약 2만 명의 공산주의 성향 군인과 무장 노동자에게 "적위대"를 조직하여 광저우를 점령하라고 명령했다. 비록 공산주의자들의 무장은 열악했고(반란군 2,000명만이 소총을 소지), 예팅, 예젠잉, 쉬샹첸과 같은 군사 지휘관들의 반대가 있었지만, 반란군은 기습을 이용하여 몇 시간 만에 도시의 대부분을 점령했다. 12월 12일, 공산주의 지도자들은 도시의 정치 구조를 "노동자, 군인 및 농민 대표 소비에트" 또는 "광저우 소비에트"로 개칭하고, 장타이레이를 주석 대리로 하는 광저우 소비에트 정부의 수립을 선언했다.[2]
3. 2. 국민당군의 반격과 봉기 진압
12월 12일, 장태뢰를 주석 대리로 광저우 소비에트 정부를 수립했다. 그러나 곧 광둥 군의 장군 장파쿠이가 반격을 시작했고, 우세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봉기군을 진압했다.[2] 국민혁명군(NRA) 15,000명이 도시로 진입하여 반란군을 밀어내기 시작했다. 국민혁명군 5개 사단이 광저우에 도착한 후 봉기는 빠르게 진압되었다. 반란군은 막대한 사상자를 냈고, 생존자들은 도시에서 도망치거나 숨어야 했다.[2] 적위대 지도자였던 장타이레이는 회의에서 돌아오던 중 매복 공격을 받아 사망했다. 12월 13일, 공산당 세력이 광저우에서 철수했다.[2]3. 3.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의 참여
이 봉기에는 최용건 등 200여 명의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이 참여했다.[3] 이들은 황포군관학교 출신이었다.[8] 봉기 실패 후 살아남은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은 만주로 파견되어 항일 무장 투쟁에 참여했다.[3]4. 결과 및 영향
1927년 중국 대혁명 직후 혁명군이 마지막으로 철수하던 날 밤, 코민테른의 중국 공산화 사업이 계속 실패하면서 스탈린은 자신의 정책을 입증하고자 중국 공산당에 무장 폭동을 지시했다. 난창 봉기, 추수 봉기 등이 실패로 돌아가자, 취추바이는 코민테른과 협력하여 광저우 봉기를 추진했다. 장타이레이, 예젠잉, 황핑 등이 봉기를 주도했고, 최용건 등 조선인 공산주의자 200여 명도 참여했다.[3]
1927년 12월 11일, 중국 공산당은 약 2만 명의 병력으로 "적위대"를 조직하여 광저우를 점령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반란군은 열악한 무장 상태에도 불구하고 기습을 통해 도시 대부분을 점령하고 "광저우 소비에트"를 선포했다. 그러나 국민혁명군의 반격으로 봉기는 빠르게 진압되었고,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코민테른의 노이만은 광저우 사수를 주장한 것에 대해 비난을 받았다.[1] 적위대 지도자 장타이레이는 매복 공격으로 사망했고, 봉기는 1927년 12월 13일 새벽에 해체되었다.
4. 1. 중공의 전략 변화
광저우 봉기 실패 후, 중국 공산당은 도시 중심의 봉기 전략에서 농촌을 기반으로 하는 장기적인 무장 투쟁으로 전략을 전환했다.[1] 1927년에만 세 차례의 봉기가 실패하면서 공산주의자들의 사기는 저하되었지만,[1] 이는 중국 전역에서 추가 봉기를 장려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1]4. 2. 희생과 교훈
1927년 12월 13일 새벽, 봉기가 실패로 끝나면서 많은 젊은 공산주의자들이 처형되었고, 광저우 소비에트는 "광둥 코뮌", "광저우 코뮌" 또는 "동방의 파리 코뮌"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 5,700명 이상의 공산주의자가 사망하고 그만큼의 수가 실종되었다. 같은 날 오후 8시경, 광저우 주재 소비에트 영사관이 포위되었고 모든 직원이 체포되었다. 이 과정에서 영사관 외교관 우콜로프, 이바노프 등이 사망했다.[1]군사 지휘관 예팅은 패배의 주요 원인이 공산주의 세력의 명백한 불리함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희생양이 되어 숙청되었다. 부당한 대우에 격분한 예팅은 중국을 떠나 유럽으로 망명했고, 거의 10년 만에 귀국했다.
광저우 봉기는 1927년에 세 번째로 실패한 봉기였지만, 공산주의자들의 사기를 저하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전역에서 추가 봉기를 장려하는 결과를 낳았다.
4. 3. 한국 독립운동과의 연관성
최용건 등 조선인 공산주의자 200여 명은 황포군관학교 출신으로 광저우 봉기에 참여했다.[3][8] 봉기가 실패한 후, 이들은 만주로 파견되어 항일 무장 투쟁을 전개했다.[3] 최용건 등은 길림성과 흑룡강성 등에서 소학교, 농민학교 등을 세우며 교육 활동을 펼쳤다.[3] 또한, 광저우 봉기 기념비를 건립하기로 결정하고 광저우열사능원리에 기념관을 건립했다.[8][9]5. 역사적 평가
광저우 봉기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다양하다.
참조
[1]
웹사이트
广州起义失败后苏联外交官为何惨遭处决并暴尸示众?_手机凤凰网
https://ihistory.ife[...]
2018-08-27
[2]
서적
中国紅軍史
河出書房新社
1979
[3]
뉴스
동아일보 매거진::신동아
http://livepoll.dong[...]
[4]
서적
중국의 권력투쟁사 1949-1978
평민사
2002
[5]
서적
인물로 보는 항일무장투쟁사
역사비평사
1995
[6]
서적
중국의 권력투쟁사 1949-1978
평민사
2002
[7]
서적
중국의 권력투쟁사 1949-1978
평민사
2002
[8]
뉴스
"고조선-고구려-발해 모두 한국역사" - 프레시안
http://www.pressian.[...]
[9]
뉴스
저우언라이 전 중국총리 “고구려 · 발해는 한국사” :: 한겨레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